가야금과 거문고는 한국의 전통 현악기며, 
각기 다른 매력과 음색을 가져 한국 음악의 아름다움을 전하는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습니다.


가야금과 거문고의 가장 큰 차이는 줄의 개수와, 연주방식, 음색으로 나누어볼 수 있습니다.


먼저, 가야금은 신라시대에 만들어진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거문고보다는 나중에 등장한 악기입니다.
오동나무로 만든 통에 12개의 명주실을 끼워 만든 악기입니다.
왼손은 줄을 짚고, 오른손가락으로 줄을 뜯어 연주합니다.
줄을 뜯으면 탄성력에 의해 진동을 일으키며 소리를 내는 원리를 가지고 있습니다.
또한 밝고 부드러운 음색을 가지고 있어, 솔로연주와 합주 모두 많이 사용됩니다.


거문고는 고대부터 사용된 것으로 추정되며, 신라시대에 매우 인기가 있었습니다..
앞판은 오동나무, 뒷판은 밤나무로 만들며, 6개의 명주실이 끼워져 있고,
몸체는 가야금보다 큽니다
거문고는 손으로 뜯는 가야금과는 달리 나무로 만든 술대를 끼고 줄을 퉁기거나 두드리면서 연주합니다.
가야금보다는 줄이 굵어 더 중후하고 무게감있는 낮은 음을 냅니다.
주로 독주나 반주에서 사용됩니다

반응형

+ Recent posts